OMV 외장하드 마운트 및 공유폴더 설정 방법 | NAS 구축기 (3)

OMV에 외장하드를 연결하고 파일시스템을 생성한 뒤, 공유폴더를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한 글입니다. 저장소 구성부터 공유폴더 생성까지 단계별 스크린샷과 함께 따라할 수 있어 NAS 구축 초심자에게 적합합니다.

OMV 외장하드 마운트 및 공유폴더 설정 방법 | NAS 구축기 (3)
[NAS 구축기] 1. OMV 설치 준비 & 하드웨어 선택
OMV (OpenMediaVault)란? OMV(OpenMediaVault) 는 리눅스 기반의 오픈소스 NAS 운영체제다. 데비안 리눅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웹UI를 통해 관리할 수 있어서 꽤 편리하다.게다가 완전히 무료다. Docker Compose를 활용해 다양한 도커 기반 서비스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강력한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것 말고도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있지만,,, OMV가 가볍고 간편하면서도 커스텀하기에 용이했기
[NAS 구축기] 2. 라즈베리파이에 OMV 설치하기
[NAS 구축기] 1. OMV 설치 준비 & 하드웨어 선택OMV (OpenMediaVault)란? OMV(OpenMediaVault) 는 리눅스 기반의 오픈소스 NAS 운영체제다. 데비안 리눅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웹UI를 통해 관리할 수 있어서 꽤 편리하다.게다가 완전히 무료다. Docker Compose를 활용해 다양한 도커 기반 서비스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강력한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것 말고도 다양한

위 두 글에서 OMV 설정까지 마친 상태이다.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파일 저장 및 서비스를 위해 외장하드를 연결하고, 파일시스템을 생성한 뒤 공유폴더까지 설정하는 방법까지 알아보자.

전체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외장하드 - 라즈베리파이 연결
  • 파일시스템 생성 및 마운트
    • 디스크 포맷
    • 파일시스템 생성
    • 파일시스템 마운트
  • 공유폴더 생성

외장하드 연결

외장하드를 라즈베리파이와 연결한다. 당연히 꼭 HDD일 필요는 없고 USB나 외장 SSD여도 상관없다. 다만 다들 아시는 것처럼 병목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는 라즈베리파이의 USB3.0 단자(파란색 포트)에 USB3.0을 지원하는 케이블을 이용해서 연결하는것이 사실 상 필수이다.

파일 시스템 생성 및 마운트

  • 저장소 -> 디스크
    • 정상적으로 하드 드라이브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한다.
저장소 - 디스크 탭에 접속한 화면. 외장하드 3개가 연결된 상태
3개의 외장하드가 연결된 것을 확인. 사진은 맥미니에서 동작하고 있는 모습이다.

필요 시 포맷을 진행하도록 하자.

  • 포맷할 장치 클릭 - 지우개 버튼 - confirm 체크 후 "예" 클릭
디스크 포맷하는 화면
포맷하는 방법. 번호 순서대로 진행하면 된다.
  • 제로필을 이용해 완전히 지울거면 "보안", 단순히 포맷만 하는거라면 "빠르게"클릭
디스크 지우기 시도 시 띄우는 대화창. 취소 - 빠르게 - 보안
중고 하드 구매했다면 오래 걸리더라도 "보안"으로 지우는것을 추천
빠르게를 클릭한 결과
빠른 포맷 결과
  • 저장소 –>파일시스템 –> +버튼 -> EXT4
파일시스템 화면
리눅스에서 가장 적합한 EXT4로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 장치선택 - 포맷했던 디스크 선택- 저장
파일시스템 생성 화면
맷을 했던 디스크를 선택해서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 저장소 -> 파일시스템 -> 재생 버튼 -> 생성한 파일시스템 선택 -> 저장
파일시스템 마운트 화면
생성한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한다.
  • 생성한 파일시스템 마운트 확인
파일시스템 화면
파일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성생되었는지 확인

여기까지 성공했으면, 외장하드를 성공적으로 NAS에 연결헸다는 뜻이다.

공유폴더 생성

단순히 파일시스템 생성하고 마운트만 했다고 사용할 수 있는것은 아니다. 이제 여러 서비스들을 동작하기 위해 마운트 한 파일시스템에 공유폴더를 생성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면 된다.

  • 저장소 -> 공유폴더 -> +버튼(생성) 클릭
공유폴더 목록이 나온 화면
공유폴더를 생성해준다
  • 공유폴더 이름 -> 파일시스템 선택 -> 상대경로 지정 -> 저장
    • 상대경로는 이름 지정하면 자동으로 정해주는데 원한다면 이름과 다르게 바꿀 수 있다.
공유폴더 생성 화면
공유폴더 생성
생성된 공유폴더 확인
생성된 공유폴더

여기까지 진행했다면 이제 정말 NAS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단계가 끝났다고 볼 수 있다. 다음 포스팅은 SMB를 이용한 파일 공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OMV (OpenMediaVault)에서 SMB(Samba) 설정하기 – 윈도우·맥·모바일 연동 가이드
OMV NAS에 SMB(Samba) 서비스를 설정하고 윈도우, 맥, 모바일 기기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처럼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로컬 네트워크 환경에서 빠르고 편리한 파일 공유 환경을 구축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