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V 설치 준비 & 하드웨어 선택 | NAS 구축기 (1)
저전력 NAS 구축을 위해 라즈베리파이와 OMV(OpenMediaVault)를 활용한 설치 준비 과정과 적절한 하드웨어 선택 기준을 안내합니다.

OMV (OpenMediaVault)란?
OMV(OpenMediaVault) 는 리눅스 기반의 오픈소스 NAS 운영체제다.
데비안 리눅스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고, 웹UI를 통해 관리할 수 있어서 꽤 편리하다.게다가 완전히 무료다. Docker Compose를 활용해 다양한 도커 기반 서비스를 쉽게 관리할 수 있다는 강력한 장점도 가지고 있다. 이것 말고도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있지만,,, OMV가 가볍고 간편하면서도 커스텀하기에 용이했기 때문에 이걸 사용하기로 했다.
🔗 공식 사이트: https://www.openmediavault.org/

현재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면 아래 포스팅 참고

하드웨어 선택
OMV를 동작할 하드웨어를 선택해보자. 우선은 첫 NAS를 구축해보는 것이니 고성능의 하드웨어보다는 저전력+가성비 하드웨어를 선택할 것이다.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하드웨어 후보들은 다음 3가지 정도로 추려보았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래 3가지 모두 구축해서 사용해 보았고, 본 포스팅을 시작으로 라즈베리에서부터 하나씩 업그레이드 해 나가는 과정을 작성할 예정이다.
- Raspberry pi 4B / 5
- Intel N100 Mini PC
- MacMini 2018 (i7, 32gb)
Raspberry Pi 4B/ 5
처음 NAS를 써보려는 입문자라면 라즈베리파이 만큼 좋은 장비도 없을 것 같다. 라즈베리파이 4B에 SSD 외장 케이스 하나만 물려도 간단하게 NAS 구성이 가능하다. 전기도 거의 안 먹고, 팬 소리도 없어서 집에서 조용하게 돌릴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다만 현재는 라즈베리파이 5까지 출시한 상황이고, 라즈베리파이5는 4B에 비해서 유의미한 성능 향상이 있었기에 지금와서는 5를 선택하는게 더 바람직해 보인다.
Raspberry Pi 4B
항목 | 사양 |
---|---|
CPU | Cortex-A72 @ 1.5GHz (Quad-core) |
GPU | Broadcom VideoCore VI |
RAM | 4GB LPDDR4-3200 SDRAM (2GB/4GB/8GB존재) |
저장장치 | microSD (OS 부팅용), USB 3.0 SSD/HDD 연결 가능 |
USB 포트 | USB 3.0 x2, USB 2.0 x2 |
이더넷 | Gigabit Ethernet (실제 속도 약 300~400Mbps 수준) |
무선 네트워크 | 802.11 b/g/n/ac 무선 LAN, Bluetooth 5.0 |
전원 | USB-C 5V/3A 전원 공급 |
Raspberry Pi 5
항목 | 사양 |
---|---|
CPU | Cortex-A76 @ 2.4GHz (Quad-core) |
GPU | Broadcom VideoCore VII |
RAM | 8GB LPDDR4X-4267 SDRAM (4GB/8GB 존재) |
저장장치 | microSD (OS 부팅용), PCIe Gen2 SSD 확장 가능 (HAT 필요) |
USB 포트 | USB 3.0 x2, USB 2.0 x2 |
이더넷 | Gigabit Ethernet (실제 속도 약 950Mbps 이상) |
무선 네트워크 | 802.11 b/g/n/ac 무선 LAN, Bluetooth 5.0 |
전원 | USB-C PD 5V/5A 전원 공급 (15W 이상 권장) |
라즈베리파이 5는 4B에 비해 CPU 성능이 2.5배 이상 향상되었고, 저장장치 측면에서도 큰 장점을 가진다. 기존에는 USB 3.0 포트 하나를 SSD 연결에 할당해야 했지만, Pi 5는 PCIe 2.0 인터페이스를 통해 NVMe SSD를 사용할 수 있어, USB 3.0 포트를 온전히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장치 속도는 microSD에 비해 최대 10배 가까이 빨라져 체감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Intel N100 MiniPC - Firebat T8 pro/plus (N100, 8gb, 512gb NVMe)
몇년 전 부터 한창 인기있는 하드웨어이다. 내가 구매한건 Firebat T8 Pro/plus 모델. 자세한 스펙은 다음과 같다.
항목 | 사양 |
---|---|
CPU | Intel N100 (Alder Lake-N, 4코어 4스레드, 최대 3.4GHz) |
GPU | Intel UHD Graphics (24EU, 750MHz) |
RAM | 16GB LPDDR5-4800 (온보드, 업그레이드 불가) |
저장장치 | NVMe SSD 512GB (M.2 2242) |
USB 포트 | USB 3.1 x3, USB 2.0 x2 |
이더넷 | Gigabit Ethernet x2 (듀얼 LAN) |
무선 네트워크 | Wi-Fi 5 (802.11ac), Bluetooth 4.2 |
영상 출력 | HDMI 2.0 x3 (최대 4K 60Hz, 트리플 디스플레이 지원) |
전원 | DC 12V (3A) |
라즈베리보다 최대전력은 많이먹지만, 성능은 훨씬 좋아진다. 라즈베리파와 단순비교는 큰 의미가 없겠지만, 긱벤치 기준 싱글코어는 4B대비 최대 5배, 멀티코어도 최대 5배 정도 빨라진다. 저장장치는 비교 자체가 무의미할 정도. (마이크로SSD vs PCIe 3.0 NVMe). OMV에 다양한 서비스를 병렬로 동작하려면 이정도는 되어야 원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상품링크 (Firebat T8 Pro/Plus)
MacMini 2018 (i7, 32GB)
2025년에 왠 인텔 맥 미니인가 싶겠지만, 애플 실리콘이 탑재된 맥 미니는 안타깝게도 OMV를 네이티브로 설치하는 것이 아직은 불가능하다.
(정확히는 하드웨어 드라이버 문제로 Debian 자체가 설치되지 않는다.)
이 하드웨어를 후보에 넣은 이유는 당연히 강력한 성능과 예쁜 디자인 때문이다.
저전력이라고 보긴 어렵지만, 그만큼 성능이 받쳐주고, 중고로 저렴하게 많이 풀려 있기 때문에 가성비 측면에서는 가장 뛰어난 선택일 수 있다.
항목 | 사양 |
---|---|
CPU | Intel Core i7-8700B (6코어 12스레드, 3.2GHz, 터보 4.6GHz) |
GPU | Intel UHD Graphics 630 |
RAM | 32GB DDR4-2666 SO-DIMM (8GB ~ 64GB까지 업그레이드 가능) |
저장장치 | 512GB PCIe NVMe SSD |
USB 포트 | USB 3.0 Type-A x2, Thunderbolt 3 (USB-C) x4 |
이더넷 | Gigabit Ethernet (옵션에 따라 10GbE 가능) |
무선 네트워크 | Wi-Fi 5 (802.11ac), Bluetooth 5.0 |
영상 출력 | HDMI 2.0 x1, Thunderbolt 3 → DisplayPort 변환 가능 |
전원 | 내장 전원 공급 (100~240V AC) |

그래서 뭘로 구축할건데?
지금 포스팅 할 시점에서는 사실 위 3가지 하드웨어를 모두 사용해보았고, 현재는 맥미니 2018을 사용하고 있다. 하나씩 업그레이드 하는 재미가 쏠쏠했다. 본 NAS 구축기 시리즈에서는 라즈베리파이부터 순서대로 업그레이드 하는 과정을 포스팅할 예정이다.
다음으로는 라즈베리파이에 OMV설치하는 과정에 대해서 적어보겠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